[이미지의 운명]이후 세미나의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논의 사항들>과 지금까지<정리된 내용>을 공유합니다.
<논의 사항들>
1. 아래의 2가지 세미나 주제와 관련하여, 좋은 책이 있다면 제안 바랍니다.
→ 파일로 님께서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책을 추천해주셨는데요, 저서가 많더군요! 제가 우선 임의로 두 권을 포함시켜 두었습니다. 이 중 어떤 책이 좋을지, 혹은 다른 책이 더 좋을지, 논의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sun님께서, 장 뤽 낭시의 <나를 만지지 마라>를 추천해주셨습니다.
→geon님께서 추천해주셨던 책이 있었는데, 제가 어디에 적어 놓았는지 찾을수가 없었습니다.;; 제보 바랍니다.
2. 세미나 주제와 책의 진행 순서에 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3. 본격적으로 다음 세미나에 들어가기 앞서, 68혁명에 관한 세미나를 하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세미나의 진행 유무와 방법들에 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정리된 내용>
1.'회화와 건축, 이미지의 두 극들' 혹은, '회화적인 것 그리고 건축적인 것'
1.1. 『눈과마음』 모리스 메를로-퐁티 (메를로-퐁티의 회화론)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020867
1.2. 『세미나 11』 자크 라캉 (회화에 주목한 라캉이 제시하는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039806
1.3.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미셸 푸코 (마그리트의 그림을 통한 푸코의 철학적 사유)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544583
1.4. 『감각의 논리』 질 들뢰즈 (베이컨의 그림을 통한 들뢰즈의 감각론)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905351
1.5. 『마네의 회화』 공동저자 (마네의 그림을 통한 철학적 사유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4903539
1.6. 『은유로서의 건축』 가라타니 고진 ('건축을 향한 의지 will to architecture'에 관한 비평서)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4769
1.7. 『건축을 향하여』 혹은 『도시계획』 르 코르뷔지에 (건축가의 혁명적 사유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985554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985557
1.8. 『광기와 밀집문화의 건축』 렘 콜하스 (광기와 밀집문화에 대하여)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2223
1.9. 『유체도시를 구축하라』 이와사부로 코소 (건축, 예술, 이민을 통한, 움직이는 신체, 뉴욕의 생성)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740465
.....................................
2. '삶과 예술'
2.1.『예술로서의 삶』 재커리 심슨 (니체에서 푸코까지)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4920793
2.2.『예술인간의 탄생』 조정환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감성혁명과 예술진화의 역량)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2278546
2.3.『삶의 미학』 슈스터만 (예술의 종언 이후 미학적 대안)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68354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