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세미나, 20130212, 돌민
하비, 희망의 공간·revel city, 51~55쪽·12쪽, 발제
희망의 공간 / 2. 공간적 조정 이론
1. 실제로 그것은 그들의 오랜 분석의 결과이다.
2. 그 책에서 헤겔(1967년 판 : 48~52, 278)은 그가 ‘성숙한’ 시민사회의 심각하고 압력적인 내부적 모순의 잠재적인 해결로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제시했다.
『선언』의 몇몇 수사적인 예견은 이미 명백해졌다.
3. 헤겔은 몇 줄의 간략하지만 놀라운 구절로 시민사회에서 계속 심화되고 있는 내적 모순에 대한 제국주의적 및 식민주의적 해결 가능성을 개관하면서, 놀랍게도 그 문제를 버려버린다.
자본주의 문제의 해결은 몇몇의 약속된 지역 혹은 지평 너머 있는 다른 공간에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일 있는 듯하다.
4. 헤겔이 맑스의 후기 관심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가는 끝없는 논쟁이 될 수 있다.
5.
6. 『자본론』제1권에서 맑스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7.
8. 이 두 글의 유사상은 인상적이다.
그러나 그 주장에 날개를 달아주기 위해서, 그는 또한 헤겔이 제기하였으나 해결하지 않은 공간적 조정 즉 다른 공간에서의 유토피아적 해결에 대한 의문을 고려해야만 했다.
9. 이와 같은 견지에서 『자본론』의 논의 구조가 갖는 또 다른 특징이 분명해진다.
맑스는 부르주아가 식민지에 옹호한 정치가 그들이 자본의 기원과 속성에 관한 그 자신의 신화와 어떻게 모순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하여 부르주아는 식민화의 계획에서 모국에서 감추고자 한 것, 즉 임금노동과 자본은 모두 생산수단에 대한 통제로부터 노동자들의 강제적 분리에 기반하고 있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이것이 ‘시원적’ 혹은 ‘본원적’ 자본축적의 비밀이다.
「도시에 대한 권리」, 『뉴레프트리뷰』2, 길, 2010.
1. 그러나 중국은 두바이에서 상파울루까지 그리고 마드리드와 뭄바이에서 홍콩과 런던까지 도시 개발을 위해 유연성을 활용하여 타인자본 조달을 지원해온 금융시장들이 놀라울 정도로 통합에 이르고 있다는 점에 부분적으로 힘입어, 지금 진정으로 전 지구적 현상이 된 도시화 과정에서 단지 하나의 중핵에 지나지 않는다.